영화 '브루탈리스트' 제작 비하인드

2025-03-05
조회수 1266

영화 '브루탈리스트', VistaVision으로 과거를 담다

올해 최고의 영화 중 하나로 손꼽히는 '브루탈리스트'가 1960년대 할리우드에서 마지막으로 사용된 VistaVision 포맷으로 거의 전부 촬영돼 화제를 모으고 있다. 브래디 코벳 감독과 편집자 다비드 얀초는 이 영화를 통해 빈스 클라크, 바그너, AI의 책임 있는 사용, 건축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깊은 울림을 선사한다.

https://www.redsharknews.com/why-epic-period-drama-movie-the-brutalist-was-shot-on-vistavision

브래디 코벳 감독은 헝가리계 유대인 건축가 라슬로 토트의 삶을 스크린에 옮겼다. 홀로코스트에서 살아남은 주인공 라슬로 토트는 전쟁 후 미국으로 이주해 새로운 삶을 시작하고 동유럽에 남겨진 아내 에르제베트의 도착을 기다린다. 아드리안 브로디, 펠리시티 존스, 가이 피어스가 주연을 맡은 이 영화는 골든 글로브 수상에 이어 오스카 촬영상 수상으로 작품성을 인정받았다.

코벳 감독의 아내 모나 파스트볼이 공동 집필한  '브루탈리스트'는 30년이 넘는 시간을 배경으로 215분이라는 긴 상영 시간과 함께 1,000만 달러의 제작비가 투입된 이 영화는 펜실베이니아를 배경으로 부다페스트와 주변 지역에서 셀룰로이드 필름으로 거의 전부 촬영됐다. 편집자 Dávid Jancsó와 제작 측면에 대한 대화를 나눴다. 

Q: 영화 '브루탈리스트'의 주인공은 누구이며 어떤 이야기를 담고 있나

A: '브루탈리스트'의 주인공은 헝가리계 유대인 건축가 라슬로 토트다. 그는 홀로코스트에서 살아남아 전후 미국으로 이주해 새로운 삶을 시작한다. 영화는 30년이 넘는 시간 동안 그의 삶과 예술적 여정을 215분이라는 긴 상영 시간 동안 담아냈다.

Q: 어떤 촬영 기법을 사용했나

A: '브루탈리스트'는 1960년대 할리우드에서 마지막으로 사용된 VistaVision 포맷으로 거의 전부 촬영됐다. VistaVision은 더 높은 해상도의 대형 화면 이미지를 위해 수평으로 촬영하는 포맷이다. 감독 브래디 코벳과 촬영감독 롤 크롤리는 넓은 시야와 20세기 중반의 느낌을 살리기 위해 이 포맷을 선택했다.

Q: VistaVision으로 촬영하는 데 어려움은 

A: VistaVision 카메라는 크고 무거우며 다루는 데 전문 기술이 필요하다. 또한 필름으로 촬영하는 문화가 남아있는 헝가리에서 촬영하며 감독 브래디 코벳은 헝가리의 필름 문화 덕분에 큰 도움을 받았다고 언급했다.

Q: 영화의 편집 스타일은

A: 편집자 다비드 얀초는 브루탈리즘 건축의 깔끔하고 기하학적인 정밀성을 편집 패턴에 반영했다. 길고 끊기지 않는 숏과 날카롭고 갑작스러운 컷을 혼합해 라슬로의 삶 속의 긴장감을 표현했다.

Q: 영화 속 음악은 어떤 역할을 하나

A: 영화 속 음악은 등장인물의 내면과 감정을 표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. 특히 바그너의 음악은 나치의 토템 작곡가의 음악이라는 점에서 라슬로가 홀로코스트에서 겪은 고통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.

Q: 영화에 등장하는 AI 기술은 어떤 방식으로 사용되었나

A: 영화는 헝가리어 대사의 발음을 교정하고 베니스 비엔날레 시퀀스에서 가상 건축가의 스타일로 건축 도면과 건물을 생성하는 데 AI 기술을 사용했다. 감독은 AI가 영화 제작 과정을 효율적으로 만들어주는 도구라고 설명하며 책임감 있는 사용에 대해 이야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.

Q: 관객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는 

A: 이 영화는 어려움을 겪는 예술가의 이야기이며 이민자가 되는 것과 자신을 받아들이지 않는 사회의 일원이 되려고 노력하는 것에 대한 이야기이며 예술적 과정의 관료적인 측면에 대한 이야기이기도 하다.

Q: 영화 속 15분짜리 인터미션은 어떤 의미인가

A: 15분짜리 인터미션은 50, 60년대 극장 상영을 떠올리게 하는 장치다. 감독은 관객에게 휴식 시간을 제공하고 영화의 두 부분을 나누는 상징적인 의미를 담았다.

Q: 영화 속 시간과 장소의 변화 표현

A: 영화는 날짜나 장소를 나타내는 화면 제목 없이 배경에서 들리는 라디오 소리나 장면의 분위기 변화를 통해 시간과 장소의 변화를 암시한다.

Q: 영화의 에필로그  내용

A: 영화는 1980년을 배경으로 한 에필로그로 마무리된다. 이 시대의 사운드를 표현하기 위해 80년대 신스팝으로 유명한 빈스 클라크와 협업하여 음악을 제작했다.

Q: 영화 '브루탈리스트'는 어떤 영화들에서 영감을 받았나

A: 영화는 '시민 케인', '대부', '컨퍼미스트', 'JFK' 등 다양한 영화에서 영감을 받았다. 감독은 영화사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영화를 제작했다고 밝혔다.

Q: 영화 속 헝가리어 대사 처리

A: 영화 제작진은 헝가리어 원어민에게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. 배우들의 헝가리어 발음을 교정하기 위해 AI 기술을 활용하기도 했다.

Q: 영화 '브루탈리스트'는 어떤 건축 사조를 배경으로 하나

A: 영화는 1950년대에 유행했던 브루탈리즘 건축 사조를 배경으로 한다. 브루탈리즘은 노출된 콘크리트나 벽돌과 같은 맨살의 요소를 보여주는 미니멀리스트적 구조를 강조했다.